top of page
241029_유식으로보는마음.png

몸과 마음에 대한 유식학의 해석을 살펴보고

이를 뇌과학 및 현대심리치유 이론과 비교해본다.

​상세 정보

​일정

2024년 12월 5일 - 2025년 1월 23일 (8회) 매주 목요일 저녁 6:30-8:30

장소

이산인문예술학당 세미나룸(대면강의)

​강사

*안환기

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同대학교 철학과에서 동양철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, 종교학과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. 박사학위 논문은 「유식불교의 언어관 연구-‘사회적 자아’를 형성하는 언어의 역할 문제를 중심으로」이다. 현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불교학·응용불교학전공 지도교수, 학술연구교수이다. 

  저서와 논문으로는 『유식학으로 보는 몸과 마음 - ‘정서’와 ‘인지’ 작용의 토대』, 『도표로 읽는 유식입문』, 『유식, 마음을 읽다』, 『유식, 마음을 변화시키는 지혜: 나를 바꾸는 불교심리학』(번역서), 「코로나-19 팬데믹 시대, 정서불안에 대한 유식학적 모색-사심사관(四尋伺觀)을 중심으로」, 「‘번뇌’의 관점에서 본 ‘트라우마’ 증상-‘도거(掉擧)’와 ‘혼침(惛沈)’을 중심으로」, 「유가 유식사상 교재의 구성과 내용」, 「자리이타의 불교심리학적 의미」, “Reconsidering the Role of Desire in Yogācāra Buddhism- Focus on the Bīja, Another Form of Language,” 외 다수가 있다.

교재

안환기 『유식학으로 보는 몸과 마음 - ‘정서’와 ‘인지’ 작용의 토대』

           (운주사, 2024)

 

수강료

16만원

​입금계좌  국민 068837-04-010142 예금주: 이산북스

​세부 일정

* 주차별 강의 내용

1주차 유식불교의 기원, 유식의 의미, 유식과 현대심리학

2주차 서론 - 1부 몸과 마음, 1장 몸과 마음의 유기적 관계

          (1. 5온·12처·18계, 2. 유식학의 몸과 마음)

3주차 1부 몸과 마음 - 2장 5위100법의 형성 배경과 내용

4주차 2부 정서와 인지 - 1장 정서작용 (1. 정서의 발생, 2. 정서의 분류)

5주차 2부 정서와 인지 - 2장 인지의 발생 (1. 인지의 발생, 2. 인지의 분류)

6주차 3부 치유를 통한 건강한 몸과 마음 - 1장 부정적 정서의 순화

          (1. 부정적 정서의 무상함을 통찰, 2. 선한 마음의 함양)

7주차 3부 치유를 통한 건강한 몸과 마음 - 1장 부정적 정서의 순화

          (3. 인본주의 심리학과 유식학, 4. 이완반응의 응용)

8주차 3부 치유를 통한 건강한 몸과 마음 - 2장 인지역량의 함양

           1.인지력 증진,

           2. 4가지 통찰(4심사관)과 ‘있는 그대로 보는 4가지 관법(4여실지관)’,

           3. 아론 벡의 인지치료와 유식학의 수행관 비교

※ 세부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.

​강좌 소개

몸과 마음에 대한 유식학의 해석을 살펴보고 이를 뇌과학 및 현대심리치유 이론과 비교해본다.

*온라인 신청서 작성이 어려운 분께서는 전화 신청 가능합니다.

  성함, 연락처, 강좌명을 알려주세요

상호명: 이산북스・이산인문예술학당 | 대표: 박대용 | 사업자등록번호: 111-26-67029  

주   소: 04626 서울 중구 퇴계로 36나길 18, 한옥마을 뒤뜨레 1층 

전   화: 02-2275-0108 | 이메일: info@esanbooks.com

문의가능시간: 오후 5시 이후

통신판매업신고: 제2024-서울중구-1385

© 2024 by Esanbooks Publications | Esan Arts & Humanities Academy  

bottom of page